인천시는 21일 기준 유충 발견 추이를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수돗물 불안감 최소화를 위해 명확한 원인규명, 시민들에게 신속·투명한 상황 공개를 대원칙으로 정수장부터 수용가까지 전과정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정밀조사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9일부터 20일 18시까지 접수된 민원 중 현장조사 결과 공촌·부평수계 약 58만5천 가구 중 0.031%인 총 187가구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언론보도, 지역커뮤니티 등을 통해 상황을 신속·투명하게 공개함에 따라 시민 문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총 접수된 민원 중 1/4 정도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일일 접수건은 지난주 80건~168건에서, 주말에는 일 40건 내외, 20일에는 91건 접수됐다.
시는 정수장부터 수용가까지 전과정에 대한 24시간 필터링·모니터링과 정밀조사를 지속하고 시민들에게 그 결과를 매일 공개하고 있다.
24시간 필터링·수질 모니터링 중인 4개 정수지, 23개 배수지, 13개 수용가의 계량기 직수관에서 유충 미발견됐다.
시는 수돗물 불안감 해소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특히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유충이 발견되지 않은 남동과 수산 정수장을 포함해 모든 정수장에 대한 청소 및 거름망 테스트, 지역의 민원 관리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10일 상수도본부장 지휘 하에 수돗물 전 과정에 대한 조사 돌입, 다음날 밤 11시 공촌정수장 활성탄 여과지에서 유충을 발견해 즉시 고도정수처리에서 일반공정으로 전환 여과지 세척 주기 단축, 중염소 추가 투입, 벌레 퇴치기 설치 정수지 4곳 청소 완료(7.16~7.20일), 배수지 4곳 청소(7.14~7.22일) 수압 높아지지 않는 수준의 관로, 소화전 방류 작업 조치를 했다.
시는 명확한 원인규명 및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위해 정부와 적극 협업해 면밀한 조사를 추진 중이다.
특히 민관학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합동정밀조사단을 구성, 21일오후 1차 회의를 열고 ▲공촌·부평정수사업소 고도정수 운영 현황 및 수질자료 등을 확인 ▲부평정수사업소 현장 확인 ▲유충 발생 원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논의를 한다.
21일 오후3시 합동정밀조사단 1차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박남춘 시장은 “과학적으로 파악해 분명히 조치할 것”임을 밝혔다. 시는 철저하고 면밀한 정밀조사로 시 자체, 정부합동조사에서 두차례 유충이 발견되지 않은 부평정수장에서 유충으로 추정되는 사체를 발견, 지난 19일에 긴급 브리핑을 열고 시민에게 공개 수온 상승에 따라 전국적으로 수돗물, 혹은 욕실 등에서 유충 발견 신고 잇따르고 있어 모든 가능성을 열고 폭넓게 원인 분석 중 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