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소청리 하수처리시설 확충공사 ‘불법·부실’ 논란…예산 낭비·환경오염 우려

  • 등록 2025.03.30 17:26:27
크게보기

옹진군 공직자들이 앞장서고 있다...백화현상 우려 공사 대책세워야

 

【우리일보 이진희 기자】 | 옹진군이 발주하고 한국농어촌공사가 위탁 시행하는 인천시 옹진군 대청면 소청리 하수종말처리시설 확충공사가 불법·부실 공사 논란에 휩싸였다. 공사 과정에서 현장비빔 레미콘 사용이 설계에 포함되면서 예산 낭비와 환경오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옹진군 환경위생과에 따르면, 이번 공사는 총사업비 91억5,300만 원을 투입해 2022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하지만 공사에 사용될 레미콘을 현장에서 직접 배합하는 ‘현장비빔’ 방식으로 설계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문제는 소청도가 극심한 식수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지역이라는 점이다. 현재 주민들조차 식수를 구매하거나 행정기관이 지원하는 생수를 이용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공사에 필요한 수천 톤의 민물을 확보할 계획이 불명확한 상태다.

 

이에 따라 공사 과정에서 바닷물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바닷물은 염분과 다양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시간이 지나면 균열과 부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일부 주민들은 “소청도의 기존 공사 현장에서 백화(白華) 현상이 자주 발견되었는데, 이는 바닷물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전형적인 부실 공사 사례”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문가들도 현장비빔 레미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대한건설자재시험연구소 관계자는 “바닷물을 사용할 경우 철근 부식과 강도 저하가 발생해 구조물의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며 “KS 인증을 받은 레미콘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도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현장비빔 방식의 레미콘 작업은 일반적으로 시멘트, 모래, 자갈을 혼합해 현장 즉석에서 제작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다량의 시멘트 가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강한 바닷바람이 불어오는 소청도에서는 이 가루가 주변 민가로 확산될 위험이 있다.

 

시멘트 가루는 미세먼지보다도 입자가 작아 폐 깊숙이 침투할 가능성이 높으며,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시멘트 가루를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주민들은 “이미 공사 현장 주변에는 시멘트 가루가 쌓여가고 있다”며 “호흡기 질환이 우려된다”고 토로했다.

 

또한, 해양오염 문제도 거론되고 있다.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멘트 가루와 폐기물이 인근 바다로 유입될 경우,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소청도는 해산물이 풍부한 청정 해역으로, 이번 공사가 어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역 어민들은 “이 지역에서 어획되는 해산물이 생계와 직결되는데, 공사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면 어민들에게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번 공사에서 사용되는 현장비빔 레미콘의 단가가 정부의 공식 인증을 받은 KS 관급자재보다 약 두 배 가까이 비싼 것으로 알려지면서 예산 낭비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보통 공공사업에서 사용되는 레미콘은 KS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으며, 이는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기준이다. 하지만 이번 공사는 KS 인증 레미콘 대신 현장에서 직접 배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단가가 크게 상승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더 비싼 비용을 들이면서도 품질이 낮고 환경오염 위험이 있는 공법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이라며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

 

일부 공직자들이 “철근이 들어가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바닷물을 사용해도 상관없다”는 발언을 하면서 논란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바닷물을 사용하면 콘크리트 내 염분이 증가해 장기적으로 부식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이 같은 주장이 잘못된 정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주민들은 ▲공사 과정의 적법성 검토 ▲환경 영향 평가 ▲예산 집행 투명성 확보 ▲공직자 부실 공사 방조 여부 조사 등을 요구하며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한 주민은 “행정기관이 나서서 불법과 환경오염을 조장하는 상황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감사원과 관계 당국의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소청리 하수처리시설 확충공사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지만, 부실 공사 논란과 주민 반발이 계속되면서 공사 일정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옹진군과 관계기관이 ▲KS 인증 레미콘 사용 여부 ▲바닷물 사용 가능성 ▲환경오염 방지 대책 ▲예산 낭비 여부 등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옹진 5도서에 주둔하고 있는 군부대(해병여단)에서도 불법, 불량레미콘이라 할 수 있는 현장비빔을 사용하지 않고 100% 관급자재 레미콘을 사용하고 있음을 주목하고 옹진군 공직자들이 이를 본받아야 한다는 것이 지역민들의 한결같은 여론이다.

 

따라서 이번 논란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귀추가 주목되는 가운데, 공사 관계자들의 해명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진희 기자 wrilbo@daum.net
Copyright(c)2010 우리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1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법인명 (주)복지티브이경인방송 │제호 우리일보 │종합일간지 인천, 가00040 인터넷신문 인천아01050 │등록일 : 2010.10.21│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원대로 869,르네상스빌딩 1606호 우) 22134 │대표전화 032-5742-114 │팩스 032-5782-110 │창간일2010년 5월10일 會長 韓 銀 熙 │ 발행·편집인 이진희│청소년 책임자 한은희 │고충처리인 이진희 │편집국장 장명진 우리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c)2010 우리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