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김선근 기자】국회 AI 연구단체 ‘국회 AI와 우리의 미래’ 소속 김장겸 의원은 15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K 정책 제안’ 토론회를 개최하고, 한국형 AI 발전 전략과 실효적 정책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정부가 추진 중인 민·관 100조 원 공동투자, 국가 AI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구축, GPU 5만 장 이상 확보,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등 핵심 목표의 이행력을 점검하고, 대한민국이 AI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주제발표는 서영일 서강대학교 교수가 맡았다.
서 교수는 Agentic AI·Physical AI·K 스타트업·AI 응용서비스 지원 정책, K원전 기반 AI 전력 시장 장악 등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구체적 방향을 제안했다.
토론에는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 정준화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 이영탁 SKT 성장지원실장, 권세중 네이버클라우드 리더, 박지성 전자신문 통신미디어부 차장 등 정부·학계·산업계·언론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김장겸 의원은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이 단순 구호로 끝나지 않으려면 선택과 집중, 표준과 개방, 책임 있는 혁신으로 질적 도약을 이끌어야 한다”며 “국회와 산업계, 학계가 함께 실행 가능한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 국가의 미래를 위한 길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대한민국 AI 산업 경쟁력 강화와 국제적 위상 확립을 위한 정책 논의의 장으로 평가되며, 향후 정부 정책과 연계된 구체적 실행 계획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