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전문병원 부천세종병원 소아심장팀이 6일 선천성 심근병증을 앓고 있는 11세 환아를 대상으로 좌심실보조장치삽입술(LVAD)에 성공했다. 그동안 국내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인공심장수술에 성공한 사례는 많이 보고되었으나 최연소 이면서도 최소 체표면적을 가진 환아를 대상으로 최신 모델 이용 좌심실보조장치삽입술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심장의 펌프 기능을 대신하는 인공심장은 심장이식을 장기간 대기해야 하는 환자나 심장이식이 불가능한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2020년도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아 국내에는 가장 최신 모델인 3세대 하트메이트(Heartmate 3)까지 도입된 상태다.
주치의인 부천세종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정윤 과장은 ”내원 당시 심근병증으로 인한 중증의 좌심실 이완기 부전, 중등도 승모판막 역류 및 중증의 폐고혈압이 동반되어 있으면서 이로 인하여 심박출량이 매우 감소되어 있는 위중한 말기 심부전 상태였다”며, “당장의 심장이식이 필요한 상황이나 폐고혈압이 매우 심하여 바로 이식을 할 수 없는 상태였기에 소아심장팀 의료진 간 논의 끝에 VAD 삽입을 통해 폐고혈압을 호전시킨 후, 심장이식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당시의 상황을 전했다.
수술 전, 심장내과, 흉부외과, 소아청소년과, 영상의학과의 면밀한 회의 끝에 심장 심첨부를 통해 삽입하는 수술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수술을 마친 환아는 우심실 부전이나 기계 감염 없이 일상생활을 하며, 다음 단계인 심장이식을 위해 추적관찰을 하고 있다.
수술을 집도한 부천세종병원 흉부외과 임재홍 과장은 “일반적으로 좌심실이 작은 환자는 LVAD 을 성공하기가 어려우며 그만큼 정밀하고 세심한 고난도 치료가 요구되므로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수술을 마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환아들이 치료를 받아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의료진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천세종병원의 소아심장팀은 소아 심장을 전문으로 진료하는 9명의 소아청소년과 의료진과 소아 심장 수술을 집도하는 4명의 소아흉부외과 의료진이 진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국내 여느 대학병원과 견줘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최고의 인프라를 자랑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첫 비수술적 경피적 2개 심장판막삽입술, 폐동맥밴딩-하이브리드 수술에 잇따라 성공하는 등 대한민국 소아심장질환 치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