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 구광회 기자】인천항만공사는 항만·CIQ* 기관 간 협력 강화를 통한 서비스 향상을 위해 내년에도 ‘인천항 물류환경 개선 행정협의회’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29일 밝혔다.
△ CIQ(Customs, Immigration, Quarantine) :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출입국 시 거쳐야 하는 3대 수속. 세관검사, 출입국관리, 검역을 뜻함.
공급망 불안 등으로 인한 물류기업의 부담 증가와 인천항 물동량 감소*에 따라, 지난 8월 29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IPA는 CIQ 기관을 비롯한 유관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인천항 이용 물류기업의 부담 경감 방안을 모색하는 ‘인천항 물류환경 개선 행정협의회’를 구성했다.
△ 전년 대비 ‘22년 11월 기준 누계 물동량 약 4.6% 감소(306만 TEU2021년 11월 누계 → 292만 TEU2022년 11월 누계)
인천지방해양수산청, IPA, 인천광역시, 인천본부세관, 농림축산검역본부 중부지역본부, 국립인천검역소,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인천지원, 인천출입국·외국인청, 인천해양경찰서 등 총 9개 기관이 참여하며, 지금까지 첫 회의를 포함해 총 3차례 회의를 가졌다.
1차 회의에서는 신선과일 신속 검역과 인천항 LCL* 창고보관료 가이드라인 설명 등에 대한 물류기업의 요청과 관련해 ▴검역인원 및 현황 ▴가이드라인 적용 여부 설명 등을 통해 정보비대칭에 따른 애로사항을 해결한 바 있다.
△ LCL :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 컨테이너 1개를 모두 채울 수 없는 소량화물을 의미
지난 10월 열린 2차 회의에서는 신항 주변 준설, 컨테이너 씰(Seal)* 불출 자동화 및 규격화 등에 대한 안건이 논의됐으며, 각 기관은 해당 내용을 내년도 사업계획에 포함시키고 우선 검토키로 했다. 아울러, 이번 달 열린 3차 회의에서는 1·2차 회의 안건 조치실적을 확인하고 내년 행정협의회 운영방향 등을 논의했다.
△ 컨테이너 씰(Seal) : 컨테이너 잠금장치, 컨테이너에 화물을 채울 때 봉하는 금속제 봉인으로서 식별을 위한 기호 및 번호가 붙어있음.
특히 내년에는 크루즈선 및 카페리선의 입항 재개가 예상됨에 따라, 각 기관과의 협력을 보다 강화하고, 선사·포워더 등 통관업무를 진행하는 업계와도 밀착 소통을 진행할 계획이다.
인천항만공사 김종길 운영부문 부사장은 “행정협의회 참여 기관은 협업을 통한 고객 서비스 향상을 위해 한마음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인천항의 서비스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내년에도 행정협의회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