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아침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인천시장 후보는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수도권 매립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대체 매립지는 경기 북부의 포천이라고 알고 있다. 서울 경기는 포천에 그걸 쓰면 되는 것이다'고 말했다. 박남춘 후보에게 ‘공식적’으로 묻습니다. 환경부, 경기도청, 포천시도 모르는 '포천 대체매립지'를 누구와 협의했는지 밝혀 주십시오. 만약 근거와 과정을 해명하지 못한다면 민주당은 1천390만 경기도민을 무시한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김동연 후보 역시 '포천 대체 매립지'에 대한 입장을 밝혀 주십시오. 만약 이면 합의가 있었다면 의혹에 대해서도 경기도민 앞에 소상히 설명해 주셔야 합니다. 공당의 후보라는 분이 무책임하게 이야기했을 리 없기에 경기도민들은 같은 당 소속의 김동연 후보에게 의심의 눈길을 보낼 수밖에 없습니다. 김동연 후보가 경기북부를 위한다며 말뿐인 '분도론'을 들고 나온 것이 엊그제입니다. 정작 같은 당 후보가 경기북부를 수도권의 매립지 정도로 치부하는데, 과연 그 공약이 무슨 진정성이 있겠습니까? 오늘 ‘포천 대체 매립지’ 논란 어디서도 현장의 주민들 목소리는 들을 수 없었습니다. 행정을 책임지는 이들은 그래서 책상이 아닌 현장에 있
【인천=김용찬 기자 】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 및 친환경 자원순환 선도도시 인천 구현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수립 및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 전문가, 시민으로 구성된 TF를 본격 가동했다.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종료 및 친환경 자원순환 정책 추진 시 신속한 의사결정 및 주민수용성 확보를 위해 TF를 구성해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시는 지난 10월 15일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을 위한 시민동동행동을 발표하여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실현시키고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른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 계획을 발표했다. 그 동안 환경오염 배출도시였던 인천은 순환도시로 환경정책을 대전환하는 친환경 일류도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제 2025년까지 짧을 기간내에 자원순환시설 및 체계를 전환해야 하는 만큼 발생지 처리원칙에 의거 과학적인 처리와 친환경적 자원순환처리 시스템을 도입해 오염을 최소화하고, 주민들의 불신과 우려를 불식하는 대책을 수립함과 함께 인천시민의 자원순환 행동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인천시장을 총괄단장으로 하고 관련기관 전문가 시민이 참여하는 6개 분야 56명으로 구성된 범시민차원의 수도권매립지 종료 TF를 구성 운영한다. TF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