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 MBN 생생정보마당 ‘이수찬의 청춘은 바로 지금부터(이하 이수찬의 청바지)’의 새 시즌에 ‘흥통령’ 트로트 가수 설하윤이 MC로 합류한다. ‘이수찬의 청바지’ 코너는 100세 시대! 노년기에 관절, 척추 질환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을 찾아 정형외과 전문의 이수찬 원장이 관절 치료를 돕고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코너로 매주 월요일 오전 9시 30분, MBN에서 방영한다. 오는 12일 방송에서는 ‘허리 운동이 척추관 협착증에 미치는 영향’라는 주제로 40년간 약수터 운동으로 건강을 관리한 조재현(77세, 남) 씨의 사연이 공개됐다. 조재현 씨는 약수터, 헬스장을 활보하며 자신만의 운동 스타일을 구축했지만 심각한 다리 저림 증상은 나아지지 않아 ‘이수찬의 청바지’의 도움을 받게 됐다. 조재현 씨의 일상 모습을 본 신경외과 전문의 김주현 원장은 척추 질환 환자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운동으로 윗몸일으키기를 꼽으며 조재현 씨의 운동법이 통증을 더 악화시킨다고 설명했다. 함께 출연한 정형외과 전문의 이수찬 원장 역시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해 보행 장애를 겪으며 일상생활 전반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고 설명하며 거동도 어려운 중증 협착증이기 때문에
【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흥통령’ 트로트 가수 설하윤이 MBN ‘생생정보마당’, ‘이수찬의 청바지’ 코너에서 관절 건강 지킴이로 활약한다. ‘이수찬의 청바지’ 코너는 100세 시대를 맞아 튼튼한 관절 청춘을 되찾기 위해 정형외과 전문의 이수찬 원장이 출연자에게 적합한 관절 치료를 돕고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코너로 매주 월요일 오전 9시 30분에 방영한다. 설하윤은 정형외과 전문의 이수찬 원장과 함께 무릎, 허리 등 관절 질환으로 ‘이수찬의 청바지’에 사연을 신청한 사례자들을 만나 쉽고 재미있게 건강 정보를 전달하고 치료를 돕는 역할을 맡았다. 오는 5일 방송에서는 ‘골반, 다리 통증 유발하는 척추 질환이 있다?’라는 주제로 다리 저림, 당김 증상을 호소하는 이정순(68, 여) 씨가 등장했다. 빗길에 미끄러진 뒤로 24시간 다리가 저리다는 이정순 씨는 매일 5~6천보씩 걷기 운동을 하며 다리 통증을 줄이려 노력했지만 통증은 더욱 심해져 결국 청바지에 사연을 신청한 것. 함께 출연한 정형외과 전문의 이수찬 원장은 이정순 씨의 다리 통증은 무릎이나 다리가 아닌 허리에서 시작된 통증이라고 단언했다.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다리로 향하는 신경이 눌려 다리 통증을 느끼
【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 오는 7월 29일 오전 9시 30분에 방송되는 MBN ‘생생정보마당’, ‘이수찬의 청바지’ 코너에서는 ‘허리 통증,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줄어드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장년층 협착증의 발병 원인과 증상에 대해 낱낱이 공개한다. 이날 방송에 출연한 윤옥수(80, 여) 씨는 80대라는 나이가 놀라울 만큼 유연한 스트레칭을 선보이며 등장했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엉치뼈부터 다리까지 저림 증상을 호소하고 있었다. 집안일을 할 때도 잠시도 서있기 어려워 싱크대에 기대거나 허리를 폴더 자세로 굽혀 일을 해야 할 정도. 특히 함께 지내는 8살 쌍둥이 손자들이 할머니에게 안길 땐 갑작스러운 외력에 척추에 위협이 되기도 했다. 윤옥수 님의 영상을 본 정형외과 전문의 이수찬 원장은 윤옥수 씨가 허리를 굽히는 이유에 대해 서 있을 때 전방 디스크와 후방 인대가 앞뒤로 허리, 다리로 가는 신경을 누르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에 허리를 숙일 때 후방 인대가 휘어지며 신경이 덜 눌려 통증이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것처럼 느껴질 수밖에 없다고. 함께 출연한 신경외과 김주현 원장 척추 3, 4번과 4, 5번의 협착증 소견을 전하며 신경감압술을 통해 신경이 눌리
【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 23일 고양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 에서 한동훈 후보가 최종 환산득표수 32만702표(득표율 62.84%)로 과반이상으로 타 후보자들을 여유롭게 따돌리고 대표로 당선됐다. 당원 선거인단 투표(80%)와 여론조사(20%)를 합산한 최종 환산득표수 기준, 원희룡 후보는 9만6177표(18.85%), 나경원 후보는 7만4419표(14.58%), 윤상현 후보는 1만9051표(3.73%)를 득표했다.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신 김민전, 김재원, 장동혁, 인요한,청년최고 위원 진종오후보가 선출됐다 한동훈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가 23일 당선 수락 연설을 통해 "민심의 파도에 우리가 올라타자"라고 말했다. 한 대표는 당 대표 수락연석을 통해 "민심을 이기는 정치는 없다. 민심과 싸우면 안 되고 한 편이 돼야 한다"며 "국민의 마음에 반응하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드리자"라고 말했다. 한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께서는 “경선 과정의 모든 일들 잊자. 하루아침에 잊을 수 없다면 며칠, 몇 날이 걸려서라도 잊자”라고 말씀하셨다,"며 그 한마디가 치열했던 경선 과정의 균열을 메우고 상처를 봉합하는 한마디가 됐다고
【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 오는 7월 22일 오전 9시 30분에 방송되는 MBN ‘생생정보마당’, ‘이수찬의 청바지’ 코너에서는 ‘무릎 타박상 후 가속화된 관절염’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날 방송에 출연한 신영승(70, 여) 씨는 8년 전 무릎에 타박상을 입은 이후로 관절염이 빠르게 진행되어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특히 농사일을 할 때는 앉아 자세에서 일을 해야 해서 신영승 씨가 느끼는 통증은 더욱 커진 상태였다. 함께 출연한 정형외과 전문의 이수찬 원장은 타박상 후 병원에 가야할 때가 있다며 48시간 이후에도 통증이 가라앉지 않고 부기가 지속된다면 꼭 병원을 방문해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영승 씨 역시 이미 관절이 약해진 상태에서 타박상으로 인해 관절염이 빠르게 진행된 것. 정밀검사 결과 양쪽 무릎 모두 관절염 말기로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수찬의 청바지"를 통해 70세의 나이에 양쪽 다리의 인공관절 수술을 마친 신영승 씨. 두 달이 지나고 다시 찾은 신영승 씨의 일상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짧은 거리를 걷는 것도 힘들어했던 사례자는 통증에서 벗어나 제2의 관절을 되찾았을지? 오는 7월 22일 오전 9시 30분 MBN
【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 보건복지부RK 수련병원의 전공의 사직 처리 현황 및 하반기 전공의 모집인원 신청 결과를 공개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7월 8일, "전공의 복귀대책"을 발표해, 각 수련병원(기관)에 7월 15일까지 소속 전공의의 복귀 또는 사직 여부를 확인해 결원을 확정하고, ’24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인원을 7월 17일까지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사무국으로 신청할 것을 요청했다. 7월 17일까지, 전공의를 채용한 151개 병원 중 110개 병원에서 사직처리 결과를 제출했고, ’24년 3월 기준 임용대상자 13,531명 중 7,648명(56.5%)이 사직(임용포기 포함)처리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턴의 경우 임용대상자 3,068명 중 2,950명(96.2%)이 사직(임용포기)했고, 레지던트는 10,463명 중 4,698명(44.9%)이 사직했다. 한편, 수련병원은 이번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총 7,707명의 모집 인원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턴은 2,557명, 레지던트는 5,150명의 모집인원을 신청했다. <전체 사직 및 모집신청 현황(명)> 보건복지부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7월 19일까지 수련병원이 신청한 하반기 모집 인원에 대한
【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 국민권익위원회가 취업규칙에 형식적 요건이 미비하다는 이유로 정년이 지난 고령의 근로자를 계속 고용해온 사업주에게 지급한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을 환수한 것은 잘못이라고 판단했다. 사업주 A씨는 2019년 7월부터 서울특별시 관악구에서 도시가스 서비스업을 시작했다. A씨는 2019년 당시 59세인 근로자 B씨를 채용하고 60세 정년이 지난 이후에도 계속 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A씨는 서울관악고용노동지청에 정년이 지난 근로자 B씨를 계속 고용했다는 이유로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을 신청해 2021년 7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월 30만 원, 총 720만 원의 계속고용장려금을 지원받았다. 그러나 서울관악고용노동지청은 2년 이상이 지난 2024년 2월에 A씨에게 이미 지급한 계속고용장려금 720만 원을 환수할 예정임을 통지했다. 관악노동청은 A씨가 정년이 지난 근로자 B씨를 계속 고용한 사실은 맞으나, 계속고용장려금 지원의 형식적 요건이 미비하다는 이유라고 밝혔다. 사업주는 취업규칙에 고령자 계속고용규정을 마련한 이후에 고령자를 계속 고용해야 하는데, A씨의 경우는 고령자를 먼저 계속 고용한 후에 취업규칙에 계속고용규정을 마련했다는
【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 국민권익위원회가 올해 2분기 보상심의위원회의 심의·의결과 전원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부패‧공익신고자 110명에게 보상금 약 10억9천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부패·공익신고로 공공기관이 회복한 수입금액은 약 119억원에 달한다. 올해 2분기 국민권익위가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한 107건의 신고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복지(44건, 41%)▴고용(29건, 27%) ▴산업(20건, 19%) 순이다. 그리고 보상금 지급액이 가장 큰 분야는 ▴산업(3억8천여만 원, 35%)▴고용(3억여만 원, 28%) ▴연구개발(1억6천여만 원, 15%) ▴복지(1억3천여만 원, 12%)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분야의 경우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첨단기술 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금 부정수급 ▴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부정수급 사례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용분야에서는 ▴청년디지털일자리사업 지원금 부정수급 ▴고용유지지원금 부정수급 ▴실업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 또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기술혁신 연구개발비 부정수급 ▴국가연구개발사업비 횡령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민권익위는 최초 보상금 지급 결정 당시 공공기관의 수입 회복이 없거나 결정된
【우리일보 강수선 기자】 | 환경부가 7월 18일 접경지역에 대한 위성영상 분석 결과 임진강 북측 황강댐의 방류 징후를 포착하고, 이에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하루에 1~2회 위성영상으로 접경지역을 감시(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집중호우 등 상황에서는 하루에 최대 3회까지 감시하고 있다. 7월 17일 10시경, 22시경 촬영된 위성영상에서는 댐 방류 징후가 관측되지 않았으나, 7월 18일 03시경 촬영된 위성영상에서 하류 하천 폭이 증가된 것으로 볼 때 황강댐에서 방류가 이뤄진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즉시 군부대, 지자체 등 관계기관 직통연결(핫라인)을 통해 상황을 신속히 공유하고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있으며, 하류 하천 주민 등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경보방송과 순찰계도 등도 실시하고 있다. 이번에 추정되는 방류량은 많지 않고, 방류한 물이 필승교에 아직 도달하지 않아 필승교의 수위는 2.68m(05시 기준)로 현재까지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환경부는 필승교 수위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접경지역 홍수상황에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하천주변,계곡,급경사지,농수로 등 위험 지역에는 가지 마시고,대피 권고를 받으면 즉시 대피하세요. 【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