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부산시는 오늘(11월 3일) 오후 3시 20분 강서권 주요 투자기업을 찾아 ‘투자 이후’ 관리에 방점을 찍은 현장행보를 펼친다. 비상경제대책회의 등에서 제기된 애로를 실제 정책으로 연결하는지를 점검하고, 투자 이후 성장단계에서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촘촘히 보완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문 대상은 선박용 크레인 국내 1위로 알려진 ㈜오리엔탈정공과, 부산 최초 대규모 외국인투자 바이오제약 연구거점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혁신신약연구원(IDC)로 확정됐다. 시는 연구개발(R&D)센터 착공·허가 등 인허가 패스파인딩을 돕고, 원스톱투자지원협의체를 통해 관계기관 간 병목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기업은 현장에서 생산·인력·수출 관련 규제완화 수요를 전달하고, 시는 전담 PM 배치를 포함한 후속조치를 약속한다. 박형준 시장은 “투자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기업이 뿌리내리고 성장하는 전 과정을 동반하겠다”고 밝혔다. 오늘 일정은 기업현황 청취, 간담회, 현장시찰,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며, 성과는 일자리 창출과 지역 주력산업 경쟁력 보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부산시는 10월 29~31일 싱가포르 ‘SWITCH 2025’에서 지역 유망 스타트업 7개사와 통합관을 운영, 바이어 상담 87건·투자상담 57건 등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귀국했다. 반도체 패키징용 구리증착 기술 기업은 600만 SGD 규모의 투자 절차를 진행 중이며, 생분해 접착제 기업은 북미 친환경기업과 PoC를 체결했다. 해양 청소 로봇·선박 탄소관리 플랫폼 등 해양도시 특화 기술도 아시아 투자사와의 협력 의사를 확보했다. 시 대표단은 SG이노베이트·Enterprise Singapore·SMU 등과 면담해 인턴십·시장진출·공동프로그램을 논의했다. 시는 사전 역량강화 교육, 컨설팅, 비즈매칭, 현지 기관 탐방을 패키지로 지원해 기업의 전시·투자 성과를 높였다고 평가했다. 금융창업정책관은 “아시아 창업도시와의 교류망을 더 촘촘히 연결해 실질 성과를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8인치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 ‘전 공정’ 생산시설이 문을 열었다. ㈜아이큐랩 새 공장은 자체 제품과 파운드리(위탁) 모두 가능한 라인으로, 2025년 시범 가동을 거쳐 2026년부터 웨이퍼 기준 연 3만장을 본격 생산한다. 총사업비 1,000억 원, 부지 8,750㎡·연면적 7,322㎡ 규모로 클린룸·사무동을 갖추고, 부산시가 약 50억 원 투자유치진흥기금과 인허가 패스트트랙으로 초기 구축을 밀착 지원했다. 기업은 부산 이전(안산→부산) 1년 남짓 만에 준공을 마쳤고, 지역 고교·대학과 산학협력을 확대해 200여 명 신규 채용을 진행 중이다. 시는 전력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기회발전특구 추가지정과 연계해 클러스터를 고도화하고, 공장 내 RISE 현장캠퍼스를 조성해 실무형 인재 양성 모델을 뿌리내리겠다는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준공식에서 “부산이 글로벌 전력반도체 허브로 도약하는 실증 무대가 마련됐다”며 수도권 반도체 기업 유치 가속을 예고했다. 회사는 ’25년 300억, ’26년 500억 장비 증설에 이어 ’27~’28년 제2공장 약 3,000억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전력반도체 시장의 연평균 7.3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핵심 전략산업 투자유치 활성화 등 3대 추진 전략을 토대로 15개 과제를 선정하며 올해 투자유치에 소매를 걷었다. 인천경제청은 올해 투자유치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외국인 직접투자(FDI) 신고액 6억 달러 유치를 목표로 ‘코로나19 파고’를 넘어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투자유치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인천경제청의 올해 목표 6억 달러 설정은 글로벌 FDI의 2021년도 최대 10% 추가 감소 전망과 지난해 전국 경제자유구역 전체 FDI 신고액이 11.8% 감소한 실적, 코로나 19 사태가 금년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인천경제청은 핵심전략산업 투자유치 활성화 ,변화된 환경에 대응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 ,혁신성장 중심 투자유치 활성화 기반 구축 등을 올해 투자유치 3대 추진전략으로 설정하고 15개의 과제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주요 핵심과제로는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확대 조성 ,신산업 분야 혁신성장 기반 구축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인큐베이팅 ,첨단부품소재 공급망 확보 ,스타트업파크와 연계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생태계 조성 ,입주기업 비즈니스센터 운영 활성화 ,대면-비대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