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부산시교육청이 교육정책의 투명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학부모·시민·교직원이 함께하는 ‘공약이행평가단’을 공식 출범시켰다. 지난 12일 교육청 전략회의실에서 열린 첫 회의에는 공개 모집으로 선발된 32명의 위원이 참석해 제19대 교육감 공약의 실천 계획과 이행 현황을 심의했다.
이번 평가단은 교육정책을 행정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검증하는 구조를 제도화한 데 의미가 크다. 교육청은 지난 8월 공개 모집을 통해 학부모, 일반 시민, 교직원을 고르게 선발했으며, 위원들은 앞으로 정기적으로 모여 공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개선 의견을 제시한다.
첫 회의에서는 부산교육의 핵심 비전이 담긴 6개 영역, 21개 과제, 73개 공약사업이 심의 대상에 올랐다. 구체적으로는 ▲맞춤형 교육 ▲부산형 교육복지 ▲AI와 미래교육 ▲K-민주시민교육 ▲교직사회 자긍심 강화 ▲지역 상생협력 등이다. 위원들은 각 공약 사업의 추진 일정과 예산, 현장 여건 등을 꼼꼼히 점검하며, 교육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위원들은 학교 현장에서 마주한 애로사항과 학생·교사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정책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회의에서는 “공약의 성공은 단순한 이행률이 아니라 실제 교육현장에서 체감되는 변화”라는 지적도 나왔다.
김석준 교육감은 “학부모와 시민, 교직원이 직접 참여하는 평가 과정을 통해 교육정책의 투명성과 실현 가능성을 동시에 높이겠다”며, “시민과 약속한 공약 사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부산교육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이번 평가단 운영이 정책의 신뢰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시민이 정책 수립뿐 아니라 실행 단계까지 책임 있게 참여한다는 점에서, 향후 부산교육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기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