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공공도서관, AI·인구소멸 시대 '지식 허브' 역할 논의
【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부산도서관이 개관 5주년을 맞아 인공지능 기술 확산과 인구구조 변화 등 사회 전반의 큰 전환기에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는 ‘2025 부산시 공공도서관 포럼’을 21일 오후 2시 모들락극장에서 개최하며 지식 생태계의 미래를 심도 있게 조명했다. 공공도서관협의회 부산지부가 주최하고 부산도서관이 주관한 이번 포럼은 ‘변화하는 지식생태계,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시민과 함께 성장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도서관 관계자뿐만 아니라 도서관 정책과 미래에 관심 있는 일반 시민들에게도 문이 열려 높은 참여와 관심 속에 미래 전략이 논의되었다. 포럼의 핵심 의제는 급변하는 정보 환경에 대한 대응이었다. 동덕여자대학교 배경재 교수는 첫 번째 발표에서 생성형 AI와 데이터 기술 발달에 따라 공공도서관이 단순한 자료 보관소를 넘어 시민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전환해야 함을 역설했다. 아울러 사서의 역할이 단순한 ‘정보 제공자’를 넘어 ‘정보 큐레이터’와 ‘학습 코치’로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새로운 시대적 책무를 제시했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국제신문 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