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부산도서관이 개관 5주년을 맞아 인공지능 기술 확산과 인구구조 변화 등 사회 전반의 큰 전환기에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는 ‘2025 부산시 공공도서관 포럼’을 21일 오후 2시 모들락극장에서 개최하며 지식 생태계의 미래를 심도 있게 조명했다.
공공도서관협의회 부산지부가 주최하고 부산도서관이 주관한 이번 포럼은 ‘변화하는 지식생태계,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시민과 함께 성장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도서관 관계자뿐만 아니라 도서관 정책과 미래에 관심 있는 일반 시민들에게도 문이 열려 높은 참여와 관심 속에 미래 전략이 논의되었다.
포럼의 핵심 의제는 급변하는 정보 환경에 대한 대응이었다. 동덕여자대학교 배경재 교수는 첫 번째 발표에서 생성형 AI와 데이터 기술 발달에 따라 공공도서관이 단순한 자료 보관소를 넘어 시민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전환해야 함을 역설했다.
아울러 사서의 역할이 단순한 ‘정보 제공자’를 넘어 ‘정보 큐레이터’와 ‘학습 코치’로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새로운 시대적 책무를 제시했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국제신문 김희국 기자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 청년 인구 유출 등으로 지역 공동체가 약해지는 인구소멸 시대에 도서관이 주민 생활의 거점이자 문화·교육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했다.
특히, 민간 문화시설이 부족한 지역에서 도서관을 “책을 빌리는 공간”을 넘어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공공 커뮤니티 허브”로 재정의하는 혁신 사례들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큰 공감을 얻었다.
세 번째 발표에서는 서울도서관 오지은 관장이 서울도서관이 추진해 온 혁신 사례를 공유하며,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도서관을 찾게 만드는 공간 디자인, 전시·강연·체험을 결합한 복합문화 프로그램, 그리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서비스 등 구체적인 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부산도서관은 이번 포럼이 서울·부산의 혁신 사례를 나란히 놓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박은아 부산도서관장은 “개관 5주년을 맞아 여는 이번 포럼은, 급변하는 시대에 공공도서관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시민과 함께 고민하는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부산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 도서관(울산·경남)과 긴밀히 협력해,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동반자가 되도록 힘쓰겠다”라고 밝히며, 부산도서관이 부울경을 잇는 지식 허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