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이진희 기자】 인구 300만 글로벌 도시를 지향하는 인천에서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40% 이상이 타 병원으로 전원되는 충격적인 현실이 드러났다. '공공의료 강화와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범시민협의회(이하 범시민협의회)'는 이는 의료 불균형 인천의 오명을 가속화하며 시민 건강권에 심각한 적신호가 켜진 것이라고 진단하고, 정부, 국회, 인천시에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에 적극 나설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허종식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입수한 '인천지역 응급환자 전원현황' 자료 분석 결과, 최근 3년간(2023년~2025년) 인천 지역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응급수술·처치불가 또는 전문 응급의료 요함'**을 이유로 다른 병원으로 전원되는 비중이 40%를 웃돌고 있다.
이는 '병실 또는 중환자실 부족'을 이유로 한 전원 비율이 감소 추세(2023년 4.3%, 2025년 2.2%)를 보이는 것과 대조되어, 인천 지역의 공공·필수의료 인력 및 시설 부족 문제가 심각한 수준임을 방증한다. 범시민협의회는 치료가능 사망률 전국 상위권, 공공의료 취약지, 의사 수 평균 이하 지역이라는 '의료 불균형 인천'의 현실을 개탄하며, 이 같은 응급환자 전원 문제는 시민의 생명에 직결되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범시민협의회는 생명이 촌각을 다투는 응급환자들 앞에서 공공·필수의료 인력 부족으로 인한 병원 전원 지체 현상에 대해 지역사회가 팔짱만 끼고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지방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 응급수술이나 처치가 가능한 외과·흉부외과·신경외과 등 필수의료 전문의를 확보하고 수술실 등 시설을 유지하기 위한 파격적 지원책 마련"에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이 반드시 현실적인 대안으로 반영되어야 함을 역설했다.
범시민협의회는 300만 인천 시민들의 절박한 요구를 대변하며, 인천의 의료 취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을 정부, 국회, 인천시를 상대로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이제는 300만 인천시민들과 함께 그 답을 들을 차례이다. 범시민협의회는 정부·국회·인천시에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해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을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