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부산 경제계는 더 이상 지연이 허용될 수 없는 국가 전략사업인 가덕도신공항 건설과 관련하여, 정부가 연내에 부지조성공사 재입찰을 재개한 조치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했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양재생)는 지난 24일 발표한 지역경제계 입장문을 통해, 이번 재입찰 결정이 뒤늦었지만 사업 정상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임을 강조하며 그 의미를 부여했다.
앞서 지난 4월 시공사 이탈이 발생한 이후 무려 6개월 동안 공사가 한 발짝도 진전되지 못하고 중단되는 상황이 지속되었으며, 이는 동북아 물류 트라이포트 도약을 준비하던 지역 경제계와 시민들의 기대를 크게 흔들었던 대목이었다.
경제계는 이번 연내 재입찰 발표를 사업 정상화의 출발점으로 평가하면서도, 오랜 기간 항공 인프라 부족에 시달려 온 남부권 주민과 기업 환경을 고려할 때, 지금 필요한 것은 소모적인 논쟁이 아닌 실질적인 진전이라고 입을 모았다.
공사기간 106개월, ‘2035년 개항’을 상한선으로 둔 아쉬운 일정 지적
다만, 정부가 기존의 84개월에서 22개월이 늘어난 106개월의 공사기간을 제시한 점에 대해서는 지역경제계가 기대했던 수준과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아쉬움을 숨기지 않았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이 106개월이 사실상 2035년 개항을 상한선으로 설정한 일정이라고 지적하며, 남부권의 산업 환경을 고려할 때 결코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니라고 밝혔다.
부산 경제계는 정부가 제시한 106개월이 연약지반 안정, 공정 준비, 해상공사 장비 제작 등 현 시점에서 고려할 수 있는 변수의 최대치를 상한선으로 설정한 것으로 이해한다면서, 이제부터 중요한 것은 이 숫자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대신, 실행 과정에서 최첨단 혁신 기술과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통해 공사기간을 단축해내는 실천 역량을 발휘할 것을 정부에 강력히 요청했다.
AI·디지털 트윈 도입 절실… 가덕도신공항을 미래형 스마트공항으로 완성해야
가덕도신공항은 단순한 공항 건설을 넘어, 부산신항·철도·배후단지를 연동하여 동북아 물류 트라이포트의 결정적인 축으로 기능하고, 나아가 동남경제권을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 성장엔진으로 이끌 국가전략공항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경제계는 빠른 착공뿐만 아니라, 가덕도신공항이 '미래 공항 표준'을 선도할 수 있도록 혁신 설계와 첨단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구체적으로 AI 물류 최적화, 디지털 트윈 공정관리, 탄소중립 에너지 운영, 친환경 모빌리티 등의 미래 기술이 결합될 때, 가덕도신공항은 지능형 인프라로서 국가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경제계는 정부가 혁신 시공기술과 첨단 인공지능 기반 공정 관리가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와 기술적 여건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더 이상 지연은 없다"… 행정·기술 병목 제거해 조기 개항 달성해야
부산 경제계는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동남권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에 대비하는 최첨단 공항의 조기 개항이라는 확고한 국가 비전이 필요한 시점이며, 더 이상 기다릴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역설했다.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가덕도신공항 건설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국가적 과제이며, 지금 필요한 것은 논쟁이 아니라 실질적 진전”이라고 역설하며, 정부가 지역 주민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2035년 이전 조기개항을 목표로 두고 신속하고 흔들림 없는 추진 의지를 보여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지역경제계는 재입찰 절차를 신속히 마무리하고, '2035년 개항'을 목표가 아닌 상한선으로 인식하여, 행정·환경·기술·절차상의 모든 병목을 제거함으로써 공사기간 단축 가능한 모든 방안을 즉시 실행할 것을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이러한 경제계의 촉구는 시민들의 염원과 부산시의 강력한 추진 의지와 맞물려 정부의 결단을 이끌어내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아래는 입장문 전문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재입찰 발표에 대한지역경제계 입장
부산경제계는 더 이상 지연이 허용되지 않는 국가 전략사업인 가덕도신공항 건설과 관련하여 정부가 연내에 부지조성공사 재입찰을 재개한 점에 대해 우선적으로 환영의 뜻을 표합니다.
지난 4월 시공사 이탈 이후 6개월 동안 공사는 한 발짝도 진전되지 못하고 중단되어, 동북아 물류 트라이포트 도약을 준비하
던 지역경제계와 시민들의 기대는 크게 흔들렸습니다.
이번 발표는 늦었지만 반드시 필요했던 조치입니다.
그러나 정부가 공사기간을 기존 84개월에서 106개월로 22개월 연장한 것은 지역경제계가 기대하던 수준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사실상 2035년 개항을 상한선으로 설정한 일정이며, 오랜 기간 항공 인프라 부족에 시달려온 남부권 주민과 기업 환경을 고려할 때 결코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닙니다.
다만 부산경제계는 이번 공사기간이 절대적 수치가 아니라, 연약지반 안정·공정 준비·해상공사 장비 제작 등 현 시점에서 고려 가능한 변수의 최대치를 제시한 것으로 이해합니다.
이제부터 중요한 것은 106개월이라는 숫자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실행 과정에서 최첨단 혁신 기술과 협업체계를 통해 공사기간을 단축해내는 실천 역량을 발휘하는 것 입니다.
가덕도신공항은 단순한 신공항이 아닙니다.
부산신항·철도·배후단지를 연동하는 동북아 물류 트라이포트의 결정적 축이자, 동남경제권을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이끌어 줄 미래형 공항입니다.
'미래 공항 표준'을 선도하는 혁신 설계와 AI 물류 최적화, 디지털 트윈 공정관리, 탄소중립 에너지 운영, 친환경 모빌리티 등 미래 기술이 결합될 때 가덕도신공항은 지능형 인프라로서 국가경쟁력을 창출할 것입니다.
지금 부산경제는 더 기다릴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은 정책의 단순한 실행이 아니라 동남권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에 대비하는 최첨단 공항의 조기개항이라는 확고한 국가비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지역경제계는 다음과 같이 강력히 촉구합니다.
하나, 정부는 재입찰 절차를 신속히 마무리하여 더 이상의 지연 없이 공사가 즉각 재개되도록 할 것을 촉구한다.
하나, 국가 물류경쟁력 강화를 위해 첨단인공지능 기반 공정 관리ㆍ디지털 트윈·혁신 시공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도록 제도와 기술적 여건을 조 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
하나, '2035년 개항'은 목표가 아니라 상한선으로 인식하고, 행정·환경·기술·절차상의 모든 병목을 제거하여 단축 가능한 모든 방안을 즉시 실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11. 24.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양재생外 의원 일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