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지긋이 앉아 계세요. 어디가 어떻게 불편한지만 말씀해 주세요.” 강원도 원주의 한 연구실. 조용한 공간 안에서 김시원 교수는 먼저 환자의 걸음걸이와 자세를 천천히 살핀다. 만성 허리 통증으로 수년째 병원을 전전해 왔다는 A씨가 의자에 앉자, 김 교수는 허리와 골반 주변을 가볍게 눌러보며 통증이 집중되는 지점을 확인했다. 그 뒤 특별한 기구도, 복잡한 시술도 없이 오른손 손등의 아주 작은 부위를 찾아 길이 5mm 남짓한 검은색 칩을 종이 테이프로 살짝 붙였다. “자, 이번에는 한 번 허리를 펴 보실까요.” A씨는 반신반의한 표정으로 숨을 고르고 천천히 상체를 일으켰다. 몇 초 지나지 않아 그의 눈동자가 동그래졌다. “어, 이거… 아까랑 느낌이 달라요. 뻐근한 게 확 줄었는데요? 허리를 조금 더 펴도 괜찮아요.” 김시원 교수는 담담하게 말했다. “특별한 마술을 한 게 아닙니다. 몸의 에너지 패턴을 조금 정리해 드렸을 뿐이에요.” “몸과 마음은 에너지의 패턴… 손등에서 ‘건강한 청사진’을 찾았다” 김 교수는 자신의 기법을 ‘퀀텀반사요법(Quantum Reflex Therapy·QRT)’이라고 부른다. 2017년 국내 전문 미용·테라피 잡
【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한국 연기계를 대표하는 원로배우 이순재가 25일 새벽 별세했다. 향년 91세. 국내 최고령 현역 배우로 방송·영화·연극계를 종횡무진하며 한국 대중문화의 굵직한 장면을 함께 만들어온 그였기에 연예계는 물론 문화계 전반에 깊은 애도가 이어지고 있다. 유족에 따르면 이순재는 평소 지병으로 치료를 이어오다 이날 새벽 영면했다. 고인은 1934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나 네 살 무렵 조부모를 따라 서울로 내려왔으며, 이후 서울고·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한 뒤 1956년 연극 ‘지평선 넘어’로 데뷔하며 배우의 길을 시작했다. TBC 전속 배우로 활동한 1960년대부터 드라마와 연극을 넘나들며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고, TV 드라마가 본격적으로 대중화되던 1970~80년대에는 친숙하면서도 무게감 있는 연기로 시청자들의 신뢰를 얻었다. 고인은 지난해 10월 건강 문제로 활동을 잠정 중단하기 전까지도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 KBS2 드라마 ‘개소리’ 등에 출연하며 마지막까지 무대와 카메라 앞에 서 있었다. 2024년 KBS 연기대상에서는 최고령 대상 수상자가 되는 영예를 안으며 “배우는 평생 배운다”는 자신의 소신을 현실로 증명했다. 이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