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김동하 기자】 인천 영종지역이 급격한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이 부재해 응급·분만·감염병 대응 등 필수의료 서비스 체계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영종지역 주민등록 인구는 13만 3497명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7%에 달한다.
2027년에는 인구가 15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2023~2027 인천시 제3기 병상수급 및 관리계획에 따르면 현재 137병상에 불과한 일반병상과 200병상 규모의 요양병상은 향후 300병상 이상 부족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영종국제공항이 위치한 지역 특성상 해외 감염병 유입 차단과 항공 재난에 대응할 의료 인프라가 필수적임에도, 대학병원급 종합병원은 물론 응급의료기관조차 없는 실정이다.
중구는 응급 공백을 메우기 위해 연 6억 원을 투입, 365일 문 여는 병원을 운영 중이지만 근본적 대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영종에서 중증 환자가 발생하면 구급차는 인천대교나 영종대교를 넘어 40~50분을 달려야 하며, 이 과정에서 응급환자가 골든타임을 놓칠 위험이 크다.
주민들이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지역 의료계는 영종지역이 중구 원도심과도 28km 떨어져 있어 별도 진료권으로 관리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시민단체와 의료기관이 협약을 맺고, 응급의학과·소아과·산부인과를 갖춘 120병상 규모 종합병원을 신설한 뒤 단계적으로 200~300병상까지 확장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김정헌 중구청장은 “송도와 청라에는 대형 병원이 들어서고 있지만, 영종은 구 단독 노력으로는 한계가 크다”며 “영종국제도시 종합병원 설립은 시대적 과제로, 범정부 차원의 행정·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대학병원급 유치는 장기 과제로 추진하더라도, 당장 응급실과 필수 진료과를 갖춘 종합병원 설립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응급은 시간과 직결된 만큼 지표 기반의 단계적 확장 모델로 현실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