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김동하 기자】 올해 말 인천 중구 영종도와 서구 청라를 잇는 제3연륙교가 개통을 앞두고 있지만, 이로 인해 폭발적으로 증가할 교통량과 사건·사고에 대비할 경찰 조직 준비는 여전히 지지부진해 치안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당초 영종경찰서는 2025년 개서를 목표로 추진됐으나, 총사업비가 100억 원 증가한 470억 원 규모로 늘어나면서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재검토를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개서 시점은 계획보다 3년 이상 늦어진 2028년으로 미뤄진 상태다.
문제는 영종 지역의 치안 수요가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는 점이다. 현재 영종국제도시는 인구 12만 명에 달하며, 인천국제공항, 복합리조트, 호텔 등이 밀집해 있어 도심 지역보다 복잡하고 광범위한 경찰의 역할이 요구된다. 여기에 제3연륙교 개통은 영종과 청라를 오가는 교통량을 급증시켜, 교량 자체가 새로운 사건·사고 위험 구역으로 떠오를 수밖에 없다.
정식 경찰서 개서가 사실상 2028년까지 불가능해지자, 인천경찰청은 건물을 임차해 **'임시 영종경찰서'**를 조기 개청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임시청사 추진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가 경찰이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 전혀 없다.
제3연륙교 개통이 임박했음에도 임시청사의 장소나 개청 시점조차 불투명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주민들은 "연륙교는 올해 안에 개통되는데, 경찰서는 아직 자리를 잡지도 못했다"고 지적하며 빠른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심지어 "제3연륙교 개통 이후에야 임시경찰서가 문을 열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까지 나온다.
이에 대해 인천경찰청 관계자는 "영종경찰서 신설 시 제3연륙교 사건·사고는 영종서가 담당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관할 여부와 관계없이 가장 가까운 경찰서가 먼저 출동하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서부경찰서가 출동하지 않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제3연륙교 개통을 위한 물리적 기반 시설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지만, 지역 치안을 전담할 핵심 조직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엇박자'가 발생하고 있다. 영종 지역의 치안 수요가 이미 포화 상태이며 교량 개통 이후 그 필요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 자명한 상황에서, 주민들은 **"정식 청사가 늦어지더라도 임시 경찰서마저 지연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영종 주민과 연륙교 이용자들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구체적인 '임시 영종경찰서'의 조기 개서와 정보 공개를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영종경찰서 #제3연륙교 #청라연결 #영종도치안 #인천경찰청 #임시청사 #영종도 #청라 #치안공백 #인천중구 #영종국제도시#우리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