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이진희 기자】 인천시 서구의회 기획행정위원장인 김원진 의원이 최근 인천시 지명위원회의 ‘청라하늘대교’ 명칭 결정에 대해 중구가 재심의를 요구한 것에 깊은 유감을 표했다. 김 위원장은 중구의 이러한 행동이 협력적 행보가 아닌 정치적 목적을 띤 이기적인 행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명위원회의 공식 절차가 완료된 직후부터 언론을 통해 재심의 추진을 공언하는 것은 시민의 이익을 위한 협력적 행보라기보다 정치적 표심을 겨냥한 행동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진정으로 인천시민의 대의를 생각했다면 먼저 서구와 협의하는 절차가 있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위원장은 중구가 주장하는 '영종하늘대교' 명칭이 부적절한 이유를 5가지로 제시했다.
이름 중복으로 인한 혼란 유발: 이미 '영종대교'가 존재하여 내비게이션, 표지판, 긴급 상황 시 혼동이 불가피하다.
지명 제정 원칙 위반: 복수 지자체가 관할하는 지명은 양측 특성을 모두 반영해야 한다는 국가지리정보원 지명 업무 편람 원칙에 맞지 않다.
지역 형평성 결여: 교량 건설에 청라 지역이 막대한 재정을 기여했고, 핵심 구조물 또한 청라 쪽에 위치함에도 명칭에서 배제하는 것은 정당성이 부족하다.
주민 여론 지지 약함: 중구 주민의 '영종하늘대교' 선호도는 31%에 불과한 반면, 서구 주민의 93.5%는 '청라대교'를 지지하는 등 지역 내 합의가 부족하다.
시대 흐름에 역행: 최근 건설된 주요 해상 교량들은 상징성과 지역성을 균형 있게 반영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다.
서구는 인천시가 제시한 '청라하늘대교'라는 절충안을 내부적으로 수용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었으나, 중구의 재심의 요구로 인해 협력의 가능성이 스스로 닫혔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제3연륙교 개통에 차질이 빚어지고, 향후 표지판 교체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등 시민들에게 불필요한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김 위원장은 마지막으로 "어떠한 협의도 없이 재심의를 신청하는 것은 시민을 위한 길이 아니다"라며 "지역 간 상생을 저버린 이기적 행보를 즉각 중단하고 인천시민 전체의 이익을 우선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