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이은영 기자】 인천시가 도시재생과 주거복지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현장 중심 행정을 강화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행정은 반드시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는 신념 아래, 동구, 계양구, 부평구 일대의 주요 도시재생 사업지를 직접 찾아 주민들의 목소리를 듣고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총 31개 사업지 중 주민 체감도가 높은 곳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주요 점검 대상은 ▲동구 화수부두 일원 도시재생혁신지구 ▲계양구 작전역세권 도시재생혁신지구 후보지 ▲부평구 부평11번가 도시재생사업 및 굴포천역 남측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지 등이다.
각 현장에서 유 시장은 사업별 추진 현황, 재원 조달, 주민 협의 절차, 그리고 생활환경 개선 효과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했다. 특히, 노후된 기반 시설로 주민 안전과 생활 편의 개선이 시급한 지역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중점을 두었다.
동구 화수부두 일원: 쇠퇴한 노후 공업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뿌리혁신플랫폼, 화수어울림센터 등을 조성한다.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계양구 작전역세권: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복합개발 사업으로, 2026년 국가시범지구 선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평구 부평11번가: 굴포하늘길 조성 등 대부분의 세부 사업이 2025년 완료될 예정이며, 핵심 거점 공간인 혁신센터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굴포천역 남측: 현재 민간사업자 공모가 진행 중이며, 시공사 선정부터 복합사업계획 승인까지 주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진행할 계획이다.
유정복 시장은 "도시재생은 주민의 생활 전반과 지역 공동체 회복, 나아가 지속 가능한 도시의 미래를 만드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행정 편의가 아닌 주민의 눈높이에 맞춰 사업을 설계하고, 실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책임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인천시는 이번 현장 방문에서 파악된 문제점과 개선 사항을 종합하여, 앞으로 각 사업지별 추진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정책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이는 도시재생 및 주거복지 정책의 신뢰성과 실행력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