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구름많음백령도 27.9℃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천만 관중 시대...프로야구, 안전관리 부실 논란

정밀안전진단 미실시 구단 5곳, 사고 매년 증가세

 

【우리일보 김선근 기자】 프로야구장에서 최근 5년간 하루 평균 1건 이상의 안전사고가 발생했지만, 시설 보강 의무가 뒤따르는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구단은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서울 서초갑,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한국야구위원회(KBO)로부터 제출받은 야구장 안전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203건이던 사고 건수는 2022년 351건, 2023년 434건, 지난해 558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1~7월에도 이미 324건이 발생해 연말에는 600건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사고 유형별로는 파울볼·홈런볼에 의한 안전사고가 가장 많았다.


삼성 라이온즈가 806건으로 최다였고, 한화 이글스(289건), 기아 타이거즈(194건)가 뒤를 이었다.


구조물 안전사고는 SSG 랜더스(15건), 한화 이글스(11건), KT 위즈(8건) 순으로 많았으며, 낙상 사고는 한화 이글스(27건), 두산 베어스·LG 트윈스(17건), SSG 랜더스(14건) 순으로 집계됐다.


현행 시설물안전법은 구장 관리자가 정기안전점검,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중 정밀안전진단은 후속 보수·보강조치가 수반되는 만큼 가장 중요하지만, 최근 10년간 이를 한 번도 받지 않은 구단이 5곳이나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밀안전진단 이력이 없는 구단에는 관중 사망사고가 발생했던 NC 다이노스, 간판 낙하 사고가 있었던 한화 이글스, 그리고 KT 위즈, 삼성 라이온즈, 키움 히어로즈가 포함됐다.


이들 구단은 “개장일로부터 진단 의무 주기가 도래하지 않았거나 의무 대상이 아니다”라는 이유를 들고 있다.


또한 모든 구단은 6개월마다 자체적으로 정기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 결과 보고서는 법적 평가 대상에서 제외돼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정밀안전점검의 경우에도 키움 히어로즈와 올해 새 구장을 개장한 한화 이글스를 제외한 7개 구단이 법정 기준의 70% 미만 금액으로 외부 점검 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희 의원은 “안일한 시설 안전 관리가 프로야구 ‘천만 관중 시대’의 인기와 명성을 갉아먹고 있다”며 “문화체육관광부, 국토교통부, KBO와 각 구단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6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