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김선근 기자】올해 들어 휴대전화, 전동스쿠터 등에 장착된 배터리에서 발생한 화재가 상반기에만 300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액은 220억원을 넘어섰지만 소방 당국의 대응 훈련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7일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배터리 화재 발생 건수는 296건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인명 피해는 사망 2명, 부상 21명에 달했다.
재산 피해액은 223억 9000만원에 이르렀다.
배터리 화재 피해액은 지난 2023년 228억 3000만원, 지난해 260억 3000만원으로 해마다 늘고 있으며, 올해는 상반기 통계만으로도 지난해 수치를 넘어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배터리 화재 건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23년 359건에서 지난해 543건으로 급증했으며, 올해는 상반기만으로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반면 소방 당국의 관련 훈련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소방청의 배터리 화재 대응 훈련은 지난 2023년 25회, 지난해 50회로 늘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9회에 불과했다.
위성곤 의원은 “배터리와 전기차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는 커지고 있지만, 소방 훈련은 위축돼 대응 역량이 뒤처지고 있다”며 “배터리 화재에 특화된 안전 대책과 전문 훈련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력·장비·매뉴얼을 종합적으로 갖춰야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