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맑음백령도 26.9℃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30 여성, 마약류 식욕억제제 장기 복용 심각

단기 체중 감량 명목, 장기적 의존과 심각한 부작용 우려

 

【우리일보 김선근 기자】2030 여성층을 중심으로 마약류 식욕억제제의 장기적·고용량 복용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외모 중심 사회 압박과 일부 의료현장의 무분별한 처방이 맞물리며, 향정신성의약품에 대한 의존이 구조화되고 있다는 경고가 제기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서구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마약류 의약품 처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여성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는 13만 3135명으로 남성(1만 6437명) 대비 8.1배에 달했으며, 30대 여성 환자는 23만 6481명으로 남성(3만 8786명) 대비 6.1배 많았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1인당 처방량이 줄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30대 여성의 1인당 처방량은 225.6정으로 2023년과 동일하며, 모든 연령과 성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한번 처방을 시작한 환자들이 장기 복용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마약류 식욕억제제는 단기간 체중 감량 효과가 있는 대신, 장기 복용 시 우울감, 불면, 심혈관계 질환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향정신성의약품이다.


식약처 권고 가이드라인에서는 3개월 이내 단기 처방을 권장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를 준수하지 않는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장종태 의원은 “2030 여성의 식욕억제제 장기 복용은 단순한 체중 관리 문제가 아니다. 의존성과 내성이 구조화되면서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식약처는 즉각적으로 처방 가이드라인을 강화하고, 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모니터링과 오남용 예방 교육을 전면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자료는 젊은 여성층을 대상으로 한 마약류 의약품 오남용이 이미 사회적·임상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의료계와 보건당국은 단순 데이터 분석에 그치지 말고, 즉각적 규제 강화와 장기 복용자 관리 체계 구축에 나서야 한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