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백령도 17.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저소득층, 암 진단 후 1년 내 사망률 고소득층의 1.8배… 조기검진 사각지대 여전

의료급여·지역가입자일수록 암 사망률 높고 검진율 낮아
소병훈 의원 “저소득층 암 조기검진 강화·통합 암통계 관리 시급”

【우리일보 김선근 기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광주갑)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의료급여 및 건강보험 소득수준별 암 발생·사망 비교 분석’ 자료(2014~2023년)를 분석한 결과, 소득이 낮을수록 암 조기 발견 비율이 낮고, 진단 후 1년 내 사망률은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특히 의료급여 수급자의 암 진단 후 1년 내 표준화 사망률은 25.97%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최상위 소득계층(14.4%)보다 약 1.8배 높았다.


의료급여층의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472.6명으로, 지역가입자(424.7명), 직장가입자(440.4명)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10년간(2014~2023년) 암 진단 후 1년 내 표준화 사망률은 의료급여 > 지역가입자 > 직장가입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사망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의료급여층(25.97%)은 지역가입자 최상위층(12.8%)과 비교 시 약 2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국가암검진 수검률에서도 의료급여층은 다른 계층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최근 10년간 6대 암종(위·대장·간·폐·유방·자궁경부암) 평균 수검률을 보면, 대장암 24.2%, 폐암 26.6%, 자궁경부암 35.8% 등으로, 직장가입자(약 50~70%)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위암 검진율도 의료급여층이 38.9%로 가장 낮았다.


암종별 사망률을 살펴보면 간암(최고 44.2%)과 폐암(최고 39.7%)의 사망률이 가장 높았으며, 모든 암종에서 의료급여층이 다른 소득계층보다 일관되게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소병훈 의원은 “의료급여층과 지역가입자 등 저소득계층은 암 조기검진 접근성이 낮고, 초기 진단 이후 치료 연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다”며 “저소득층을 위한 국가암검진 접근성 확대와 조기발견율 향상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현재 기관별로 분산된 암 통계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국가 단위 암통계 시스템을 구축해 계층별·소득별 맞춤형 예방 및 조기진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